우리 몸속 면역력이 떨어지면 각종 질병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보통 감기에 걸리거나 배탈이 나면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으면 되지만 입안에 염증이 생기는 경우엔 여간 신경 쓰이는 일이 아닐 수 없다. 평소 양치질을 열심히 해도 입병이 나는 사람들은 도대체 왜 그런 걸까? 그리고 어떻게 하면 예방할 수 있을까? 그럼 지금부터 구내염의 발병이유 및 증세, 통증을 예방하는 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목차
1. 구내염이란 무엇인가?
구내염, 즉 입병은 입안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혀와 잇몸, 입술 등 구강 내 모든 부위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종류도 다양하다. 대표적으로 '아프타성 구내염'과 '헤르페스성 구내염'이 있는데, 아프타성 구내염은 주로 20~30대 젊은 층에게 자주 나타난다. 이는 스트레스로 인한 면역력 저하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헤르페스성 구내염은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나타나며 전염성이 있어 주의해야 한다. 이외에도 곰팡이균에 의한 칸디다증, 영양결핍이나 철분 부족으로 나타나는 빈혈성 구내염 등이 있다. 대부분 1~2주면 자연 치유되지만 증상이 심할 경우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다.
2. 구내염의 발병이유
입안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구내염은 통증, 구취, 물집 등 다양한 증상을 동반한다. 발병 원인도 매우 다양하다. 일반적으로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 때문에 생기지만 비타민B12와 철분 결핍, 피로 누적, 스트레스로 인해 나타나기도 한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어린아이들이 구내염에 걸리기 쉽다. 실제로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구내염 진료 인원 중 10대 이하 환자 비율이 약 38%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연령 평균보다 높은 수치다. 그렇다면 어린이에게 유독 구내염이 잘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구내염'이라는 병 자체가 전염성이 강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어른에게는 가벼운 질환일 수 있지만 아직 면역체계가 완성되지 않은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성인과는 달리 아이들은 입안에서 침 분비가 적어 입속 점막이 쉽게 건조해진다. 이로 인해 외부 자극으로부터 보호받지 못해 상처가 생기기 쉽고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에도 취약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평소 양치질을 꼼꼼히 하고 구강 위생 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 만약 자녀가 구내염 증세를 보인다면 충분한 휴식을 취하게 하고 물을 자주 마시게 해 수분을 보충해 주는 것이 좋다.
3. 구내염의 증세들
입안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구내염은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쉽게 발병하는 질환이다. 하지만 유독 어린아이들에게 자주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면역력 저하와 스트레스, 비타민 부족 등을 원인으로 꼽는다. 특히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 단체생활을 시작하게 되는 4~5세 무렵부터 구내염 환자가 급증한다.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구내염으로 병원을 찾은 10세 미만 환자 수는 전체 환자 수의 20% 가량을 차지했다. 이처럼 많은 아이들이 구내염으로 고생하고 있지만 정작 부모들은 이를 단순한 감기로 착각하기 쉽다. 따라서 평소 자녀의 행동을 유심히 관찰하여 구내염인지 아닌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만약 다음과 같은 증상들을 보인다면 구내염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첫째로 음식을 먹을때 입안 통증을 호소하거나 침을 흘리거나 입 냄새가 난다. 둘째, 입술 주변 피부가 붉게 변하거나 혓 표면이 갈라진다. 셋째, 혓바닥 돌기가 솟아오르거나 고열 및 두통을 동반한다. 넷째, 식사량이 줄어들거나 잇몸이 붓거나 피가 난다. 다섯째, 목 안쪽에도 염증이 생기거나 심한 경우 얼굴 군육까지 마비된다.
4. 구내염의 통증을 예방하는 법
그렇다면 구내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가장 먼저 입 안을 청결하게 유지해야 한다. 식사 후에는 반드시 양치질을 하고, 가글액을 사용해 수시로 입안을 헹궈주는 것이 좋다. 또한 맵거나 짠 자극적인 음식은 피하고, 부드러운 유동식 위주로 식단을 구성하도록 하자. 이밖에도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취하고, 영양제를 복용하면 구내염 예방에 도움이 된다.
'헬스케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토피 피부염은 왜 생기는 것일까? 그리고 그 증세와 예방법,치료법은 무엇이 있을까? (0) | 2023.02.20 |
---|---|
거북목 증후군의 뜻과 발병원인, 예방법과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2.19 |
편도염 파해치기. 그 원인,증상,치료법을 알아보자. (0) | 2023.02.18 |
빈혈은 왜 발생하는 것이며, 그 증상과 예방하는 법은 무엇일까? (0) | 2023.02.17 |
장염 벗어나기. 발생이유와 증세, 통증예방법을 알아보자. (0) | 2023.02.16 |